10 Oct

한국 20세 이하(U-20) 축구 국가대표팀이 8강 문턱에서 멈췄습니다.

이창원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10일 칠레 랑카과의 에스타디오 엘 테니엔테에서 열린 2025 FIFA U-20 월드컵 16강전에서 모로코에 1-2로 패했습니다.


2019년 폴란드에서 준우승을 차지하고 2023년 아르헨티나에서 4위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16강 진출에는 실패했습니다.


한국은 B조에서 1승 1무 1패로 3위를 차지하며 각 조 3위 안에 드는 상위 4명의 3위 안에 드는 근소한 차이로 대회에 진출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C조 1위로 예선을 통과한 모로코를 상대로 조직력과 마무리 능력 모두에서 한계를 보였습니다(2승 1패).


모로코의 압박은 킥오프 직후 강렬했습니다.


전반 1분 오스만 마암마에게 솔로 기회가 왔지만 골키퍼 홍성민(포항)이 다이빙으로 막아냈습니다. 잠시 휴식을 취한 한국은 3분 뒤 반격의 기회로 응수했고, 김태원(포르티모넨세)이 슈팅을 날렸지만 모로코 수비에 막혔습니다.


이창원 감독의 팀은 초반에 골을 허용했습니다. 8분 야신의 왼발 슈팅이 손승민(대구)의 다리를 맞고 골문 안으로 굴절되었습니다.


공을 기다리던 야시르 자브리가 곡예 왼발 자전거 킥을 한국 골대에 날렸습니다.


자브리의 발을 떠난 공은 신민하(강원)의 하체를 맞고 굴절되어 한국 골라인을 넘었습니다. 공식 집계는 자책골이었습니다.


한국은 재조직되기 시작했습니다. 주소모아

전반 43분, 배현서(서울)의 컷백은 최병욱(제주)이 주도했고, 정마호(충남 아산)가 오른발 슈팅을 날리며 순조롭게 흘러갔습니다.

하지만 슛은 빗나갔습니다.

최병욱은 페널티 지역에서 상대와 충돌하여 쓰러졌습니다.

이 감독은 축구 영상 지원(FVS)에 심사를 요청했지만 심판은 페널티킥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원심 판결은 유지되었습니다.

이번 대회에 도입된 FVS는 심판의 판정이 잘못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코치들이 경기당 최대 두 번까지 심사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한국은 후반전에 공격적인 노력을 강화했습니다.

9분, 최병욱의 낮은 크로스를 손승민이 골대를 넘기는 슛을 날렸습니다.

대신 직접적인 타격이었습니다. 전반 13분, 오른쪽 측면을 돌파한 오스만 마마의 크로스를 자비리가 헤딩으로 연결했습니다.

점수는 0-2였습니다. 한국의 8강 꿈은 서서히 사라지고 있었습니다.


또 다른 골을 허용한 후, 감독은 교체 카드를 꺼냈습니다.

그는 최병욱과 김현민을 위해 백가온(부산)과 이건희(수원)를 영입하여 측면에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이건희는 공을 적극적으로 추월하여 일련의 크로스를 보냈지만 모로코 수비진에게 반복적으로 가로채졌습니다.

후반 19분, 신민하의 헤딩슛이 골대를 살짝 벗어났습니다.

전반 36분 김명준(gen)이 김현오(대전), 정마호가 성신(부천)으로 교체 투입됐다. 하지만 모로코는 이미 라인을 내리고 수비에 집중하며 수비를 두 배로 늘린 상태였습니다.

시간은 금방 지나갔습니다. 전반 44분 이건희의 날카로운 크로스가 박스 안으로 들어오면서 김현오의 감각적인 슈팅으로 이어졌지만 골키퍼 야니스 벤차우치의 손끝이 막아냈습니다.

잠시 후 김태원과 최승구(인천)도 연속 슈팅을 시도했지만 상대의 강력한 수비에 막혔습니다.

연장 후반전에 이 감독의 FVS 요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스마일 바흐티의 핸드볼 파울이 제외되었습니다.

페널티킥을 성공시킨 김태원이 침착하게 오른발 슈팅을 성공시키며 1-2 동점을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심판은 더 이상 시간을 추가하지 않고 즉시 호루라기를 불었습니다.

한국이 14-8로 슈팅 우위를 점한 반면, 슈팅은 3-2로 사실상 동일했습니다. 특히 마무리 부족과 초반 자책골이 뼈아팠습니다.


20년 동안 본선 진출이 없었던 모로코는 인상적인 활약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조별리그에서 스페인과 브라질을 꺾고 '죽음의 조'로 불리는 C조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대회 개막전에서 한국을 꺾고 아프리카 축구의 저력을 보여줬습니다.

모로코는 13일 8강전에서 미국과 맞붙습니다. 미국은 이날 이탈리아를 3-0으로 꺾고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습니다.



2019년 이강인 세대 준우승, 2023년 김용학-배준호 세대 4위에 이어 또 한 번의 영광을 노렸던 한국은 아쉽게 승부차기에 만족해야 했습니다. 이창원의 세트피스 능력은 대회 내내 눈부셨지만 필드골 부족은 여전히 과제였습니다.

Comments
* The email will not be published on the website.
I BUILT MY SITE FOR FREE USING